
ejs로 세팅하기 위해 인스톨후 set한다
$ npm install ejs

웹페이지에 적용시키기 위해서

send -> render
("Home"); -> ("home) ;
로 바꿔준다 pug 파일명과 같은 이름을 해주면 웹페이지에 적용된다

*컨트롤러에 있는 정보를 템플릿에 추가하는 방법
-Template 틀 형식 붕어빵틀 같은것
-Controller 제어 조종장치
app.js에 locals 라는 middleeare를 만든다
local변수를 global 변수로 사용하도록 만들어주는 middleware
middleware.js 파일생성





이로써 전역적으로(글로벌) 사용할 수 있는 변수를 추가하는 방법이다
템플릿, 뷰, 모든 곳에서 사용가능하다
다음 함수로 라우터로 넘어간다는 뜻으로 next()를 써(호출)줘야 한다
*템플릿 따로 지정하기

render의 첫번째 인자는 템플릿이고, 두 번째 인자는 템플릿에 추가할 정보가 담긴 객체다
-가상정보를 먼저 넣어서 템플릿을 완성하고 어떤일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알아본다
그 후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실제 정보를 추가하고 사용자 인증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
db.js 파일생성


post 부분을 만들어 주고 get join 부분도 수정한다






